yokomo 38

Belt mechanism

벨트는 기어와 동일한 수량이라는 가정하에 입력측과 반대 회전을 가지는 기어와 달리 입력측 회전 = 출력측 회전을 갖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GRK의 부드러운 회전(구동)을 갖기 위해 구매했던 제품들과 그 결과물입니다. 입력과 출력이 동일한 벨트 시스템의 장점은 yokomo YD-2 ZX에 사용할 경우 안티 토크가 발생해서 트랙션이 좋아지는 장점으로 변경됩니다. 알리에서는 모더에 직접 연결이 가능한 풀리를 팔고 있으니 ZX를 사용하신다면 강추드립니다

WRAP UP NEXT OVERHEAD CONCEPT 2/2

1/2편 다음날 최종 조립을 완료하려 했으나 상사와 면담이 있어서 조립을 못했습니다. ​ 하루종일 시계를 보며 바늘이 열심히 달려주기만을 빌다가 퇴근 시간에 칼 같이 서킷으로 향했습니다. ​ 결국 조립(!)을 끝냈습니다. ​ 그럼 사진 갑니다. OVERHEAD CONCEPT의 구성은 레드 아노다이징 파트와 카본, 카운터 기어 홀더, 카운터 기어, 각종 심, 너트, 볼트로 구성되었습니다. ​ 조립 중간에 사진을 찍어야 했으나...... 급한 마음에 최종 조립 사진만 찍었습니다. ​ 최종 결과물입니다. 조립할 때 특별히 주의할 점은 없습니다. ​ 피니언 24T, 스퍼 82T를 사용했고 가지고 있던 스퍼가 순정보다 작아 더 큰 카운터 기어를 사용해야 했기에 YD-2 기어박스안에 들어가는 수지 기어를 사용했습니..

WRAP UP NEXT OVERHEAD CONCEPT 1/2

기존에 제작된 카본 데크의 원래 목적이었던 WRAP UP NEXT사의 OVERHEAD CONCEPT의 조립을 진행했습니다. ( https://www.rcmart.com/wrap-up-next-overhead-concept-motor-conversion-kit-black-for-yokomo-yd-2-0563-fd-00105609 ) ​ 금일은 기초 작업하고 내일 조립을 끝낼 예정입니다. 그럼 사진 갑니다. 오늘 사용될 카본 데크는 이전 게시글에 사용되었던 SX 및 Addiction high traction bulkhead용으로 설계된 것입니다. 우선 기존의 부품들을 이식했습니다. SX처럼 데크 좌우로 보강대를 장착했습니다. 기본 타각은 우스카니 스티어링 파트를 사용했고 해당 부품만 충분한 타각을 낼 수 있..

YOKOMO YD-2 RR 개선 방향

현재 YD-2 RR은 Addiction High traction rear bulkhead가 제가 만든 Carbone deck에 장착되어 있습니다. ( Addiction High traction rear bulkhead 정보 shopping.rc-art.net/products/e/4580377882554/ ) 씨크릿베이스의 미끄러운 노면에서는 기대치보다 낮은 주행성능이지만 아스팔트에서는 주행성능이 기대치를 상회합니다. (아스팔트데이 - jkstal.tistory.com/69 ) 새로 만들고 있는 Carbone deck는 하이트랙션을 위해서 1. 기어박스쪽을 좁게 하여 변형(Bending)될 수 있으며 2. 배터리 박스를 원하는 곳 어디나 장착할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아마도 다음주면 도착할 것 같습니다. ..

HOBBYWING XERUN V3.1 역접

얼마전 타임 어택 준비하다가 YD-2 SX를 역접했습니다. 슬픈 냄새와 더불어 차량은 움직이지 않았어요. 사용 변속기는 HOBBYWING XERUN V3.1 ​​ 자세히 보니 캐패시터에서 연기가 났고, 다른 제품과는 다르게 캐패시터에 IC까지 붙어 있네요. 다른 제품 사용 경험은 미천해요. 요코 BL-PRO4 DRIFT, 산와 VORTEX TYPE D, 성지 60 이것만 갈아 보자 하는 맘이 들어 다시 폭풍 검색. ​ 같은걸 찾아 냅니다. 우선 2개 주문.... 나중에 알았지만 대용량도 있네요. ​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 캐패시터를 교체하니 언제 그랬냐는듯이 작동합니다. ㅋ 아싸!! 하비윙 V3.1은 단종 되었지만 난 신품이 하나 더 있으니.....ㅋㅋㅋ

12 awg mil-spec wire

DRM 훈철군이 지원해준 12 awg wire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대부분의 기자재, 특히 변속기와 모터를 연결할 때 정돈 상태를 위해 클립이나 타이를 사용해왔습니다만, 이번에 입수한 전선은 그냥 꺾인 형태를 유지합니다. 그럼 사진 보시죠. ​ 변속기에서 모터로 가는 저 상태가 유지됩니다. 따라서 클립이나 타이가 필요없어지는 것이죠. ​ 원래는 변속기 위치만 바꾸려고 했던건데 의도치 않게 이런 부수적인 장점으로 배선 정리에 신세계가 열렸네요. 귀찮아서 배선 정리 안하고 싶었는데 다시 해야하나 고민중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