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초보기억 정리 (Drift RC) 16

드리프트 알씨 입문자를 위한 저비용 차랑 및 기자재 구성하기 - 조립편

지난 1편에 이는 2편 조립편 올라갑니다. - 1편 : 드리프트 알씨 입문자를 위한 저비용 차랑 및 기자재 구성하기 - 시작편 (tistory.com) 1. 조립기의 방향성 본 조립기는 최대한 매뉴얼 세팅으로 조립되어 시험주행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3월 4일에 핸드폰으로 전체 조립 영상을 촬영했지만 멍청하게도 초기화를 진행하여 동영상이 지워졌습니다. 각 조립 단계에 따라 사진 혹은 영상과 함께 설명을 드리려고 했지만 자료가 없기 때문에 조립 매뉴얼과 추후 촬영한 사진을 통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어제도 평일에 공방에 한분 오셔서 세팅 및 기자재 올리는 것을 도와드렸지만 저희 공방에 오시면 제가 최대한 도움을 드리겠습니다. D. Crew에서 운영 중인 오픈 톡방입니다. https://open.kakao.co..

드리프트 알씨 입문자를 위한 저비용 차랑 및 기자재 구성하기 - 시작편

이전 MD 1.025게시글에서 말씀드렸던 "드리프트 알씨 입문자를 위한 저비용 차랑 및 기자재 구성하기" 프로젝트를 위한 아이템이 도착했습니다. RD 2.0은 2월 24일 발주, 2월 29일 수령했습니다. (2.29가 회사 전체 연차라 제 자리에 배송되었고, 물품은 연휴가 지난 오늘 확인했습니다.) 그럼 사진 갑니다. 본 프로젝트에서 RD를 선정한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가격 - 20만원 초반 가격이 모든 것을 용서하네요. 가격 대비 구성품 - RDX와 다르게 턴버클 조절가능 (추가비용없음) 레이아웃 - 최근 선호하는 뒷쪽 모터 및 후방 배터리 호환성 - 기존 보유한 YD-2용 알루미늄 파츠와 호환 데이터 보유 - 플라스틱 메인 데크 및 상단 데크를 카본으로 제작할 수 있는 설계 자료를 많이 보유함. ..

입문 - 새로 살 부품이라면 가격 비교를 꼭 해보세요. 국내든 해외든

드리프트 RC는 부품도 많고 파는 곳도 많고 유사한 형태의 제품도 많고 유사한 쓰임새의 제품도 많습니다. 플라스틱 차량을 메탈로 변경하는 행위는 제조사에서도 지원하고 주변 뽐뿌도 지원합니다. 그래서 우리 유저는 주행 능력과 하등 상관없는 제품의 메탈화를 때때로 (라 쓰고 항상이라고 읽습니다.) 진행하곤 합니다. 이런 유혹이 왔을 때 우리는 한번 더 고민해야 합니다. 국내 및 해외 판매처마다 가격이 다를 수 있습니다. ※ 시간 보시면 아시겠지만 동일 날짜, 동일 시간대이며 현재와는 다를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입문 - 고가의 제품이 꼭 좋을까요? 그렇다면 가성비 제품은 어때요?

드리프트 RC는 아무래도 초기 비용이 높습니다. 주변에서 좋은 제품을 쓰라고 하지만 저는 처음에 고가의 제품을 선택하지 않았습니다. 유부남의 취미를 용돈으로 시작하다 보니 중저가 혹은 알리 제품을 사용했습니다. 그런데 일부 제품은 꼭 브랜드 파워가 있는 곳을 선택하셔야 합니다. 가격은 매력적이지만 88일 후에 올라온 후기를 보면 이 것은 사면 안되는 제품입니다. 일부 샵에서는 구매 대행도 하는 것 같은데 제품을 써보고 구매 대행을 하는 것인지 궁금하군요.

입문 - RC 하면서 후회할 때는 누구나 있습니다.

여러분은 취미생활에 후회를 한 적이 있으십니까? 저는 요즘 후회를 할 때가 많습니다. 매몰차게 선을 긋고 모함하고 내가 아닌 다른 사람들은 틀리다고 할 때요. 이번에 참 흥미로운 소리를 들었습니다. 우리 팀 형님께서 팀원을 사랑하셔서 바디를 장장 9개월에 걸쳐 작업해 주셨습니다. 그리고 후기를 네이버 "드리프트 클럽"에 올리셨는데요. (원문 - https://cafe.naver.com/driftclub/70680) 중간에 드리프트 샵에서 기념으로 주는 물품이 나온 사진이 있습니다. 현재는 해당 유저는 안 쓰고 있는 물품이지만 (작업해주신 형님의 핸드폰 초기화로 얼마 없는 작년 작업 사진인데) 만들어 주신 형님의 의도와는 다르게 나온 것 같습니다. (다음에는 모자이크를 권합니다. 형님) 이 사진을 보고 해..

입문 - 왜 기자재는 드리프트 전용을 사용해야 할까요?

입무하시는 분들 중에는 "드리프트" 전용 기자재가 비싸고 구하기 어렵다고 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비싼 가격을 지불하고 왜 전용 제품을 쓸까요? 도대체 왜 그래야 할까요? 같은 팀원이 저렴이 서보를 사서 실험해보았습니다. 일반적인 토크에 메탈기어를 쓴 디지털 로우 프로파일 서보입니다. 드리프트 RC를 판매하시는 샵 사장님도 좋다고 하십니다. -------------------------------------------------------------- 후 기 ------------------------------------------------------------------------ 팀원은 기다리다가 서보를 받아 장착해보았다고 합니다. (2023.2. 3) 동영상으로 결과물을 받았습니다. 많이 추운가 ..

입문 - 드립 차량의 기자재 구성

이제까지 우리는 Drift kit을 꾸밀 때 필요한 것들을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우리 Kit을 조립했을 때 최종 결과물을 알아볼 때입니다. 언제나 그렇듯이 사진 먼저 갑니다. 이것이 구성된 Drift Kit입니다. 상기 기자재는 수신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수신기 1번 채널 : 서보는 자이로와 연결 후 수신기 1번 채널에 꽂는다. 수신기 2번 채널 : 모터와 변속기는 납땜하고 센서선까지 연결한 뒤 변속기의 선을 수신기 2번 채널에 꽂는다. 수신기 3번 채널 : 자이로의 감도를 설정하는 1가닥의 선을 꽂는다. 수신기 4번 채널 : 냉각 팬을 꽂는다. 혹은 바디의 LED들

입문 - 기타 구매품

킷과 기자재를 선정했으면 이제 남은 것은 자잘한 부품들입니다. 전선 모터 커넥터 배터리 커넥터 바디 마운트 휠 타이어 그럼 설명 갑니다. 전선 (Wire) 160R 변속기 기준으로 14 AWG (14 게이지) 혹은 12 AWG (12 게이지)를 사용합니다. 사용처는 ESC와 모터를 ABC 3군데 연결, ESC와 배터리 +. -극을 연결할 때 쓰입니다. 최근 조립한 FR-D에서 전선을 메인 데크에 이쁘게(?) 정리하기 위해서 각 파트 밑으로 전선을 넣게 되었는데 14 AWG 기준으로 5.5미리 정도의 공간이 필요했습니다. 모터 커넥터 (Connector) ESC와 모터를 연결할 때 납땜을 하여 고정식으로 연결합니다만 저처럼 10.5T의 모터를 사용하다가 13.5T로 변경하거나 모터가 더 이상 동작하지 않을..

반응형